티스토리 뷰
담배를 한 가치 피고 폴로 사탕 하나 물면 또는 폴로 사탕 하나 물고 담배를 피면 상쾌한 느낌이 나서 좋다. 1948년 영국에서 판매가 시작됐다니 80년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성분을 알아보자.
설탕, 포도당시럽, 변성전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합성향료(민트향), 천연향료(민트향)
Q : 포도당시럽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A : 포도당시럽(Glucose syrup)은 주로 전분(澱粉)을 가수분해해서 만드는 당류 혼합물이에요. 주로 옥수수 전분이 많이 사용되지만, 감자, 밀, 쌀, 타피오카 전분 등도 원료가 될 수 있어요. 사탕, 젤리, 음료, 아이스크림 같은 가공식품에 단맛과 점성을 더하기 위해 널리 사용돼요.
포도당시럽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래와 같아요:
1. 전분 원료의 추출과 정제
먼저 옥수수나 감자 같은 식물에서 전분을 분리해요. 물과 기계적 공정을 통해 단백질, 섬유질, 지방 등을 제거하고 순수한 전분(주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을 추출해요.
2. 가수분해 (당화 과정)
정제된 전분에 열, 산, 효소를 이용해 전분을 작은 당분자로 쪼개는 과정이에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됩니다:
▸ 산가수분해: 전분을 산과 고온으로 처리해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방식. 과거에는 주로 이 방식이 사용됐지만, 제어가 어려워 원하는 당 조성 비율을 얻기 힘들었어요.
▸ 효소 가수분해 (Enzymatic hydrolysis): 현재는 주로 이 방법이 사용돼요.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돼요.
• 액화 (Liquefaction):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라는 효소를 이용해 전분을 더 작고 물에 녹기 쉬운 중간체(덱스트린)로 만듦.
• 당화 (Saccharification):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 등의 효소로 덱스트린을 포도당(glucose) 등 단당류로 분해함.
3. 정제 및 농축
가수분해가 끝난 후, 혼합액에는 여러 종류의 당류(포도당, 말토오스, 덱스트린 등)가 포함돼 있어요. 이 혼합물을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여과기 등으로 정제해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농축기를 통해 점성이 높은 시럽 형태로 만들어져요.
4. 제품화(당도 조절)
최종적으로 시럽의 성질(당도, 점성, 색깔, 결정 방지 특성 등)을 조절해서 원하는 용도에 맞는 제품으로 만듭니다.
요약하면, 포도당시럽은 전분을 효소로 분해해서 만든 당류 혼합 시럽으로, 정제 전분 → 효소 가수분해 → 정제 및 농축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져요.
Q : 사탕에 들어가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사탕이나 정제형 식품(예: 비타민 알약)에 사용되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은 주로 윤활제(lubricant)로 사용돼요. 이 성분은 사탕 자체의 맛이나 단맛과는 관련이 없고, 제조 과정에서의 물리적 품질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윤활제 역할
사탕을 제조할 때 설탕, 시럽, 색소, 향료, 기타 첨가물들을 혼합해 고형화하거나 틀에 넣어 굳히는 과정이 있어요. 이 과정에서 원료가 기계 틀이나 몰드에 들러붙지 않도록 해주고, 재료들이 고르게 퍼지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정제 형태(딱딱한 알사탕 등)에서는 기계의 금속 표면과 재료 사이에 마찰을 줄여줘요.
2. 압축 과정에서의 흐름성 개선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분말 형태의 원료들이 기계 안에서 잘 흐르고 뭉치지 않게 도와줘요. 덕분에 사탕이나 알약을 압축 성형할 때 고르게, 매끄럽게 눌러지도록 해줘요.
3. 모양 유지와 제품 안정성 향상
사탕이 굳은 다음에도 잘 부서지지 않도록, 또는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물리적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데도 도움을 줘요. 특히 수분에 민감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수분 차단 효과도 일부 있어 제품의 보존성도 개선돼요.
4. 식품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음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미량만 사용되고,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분류돼 있어요. 일반적으로 0.25%~5% 이내의 낮은 농도로 쓰이며, 체내에 들어오면 스테아린산은 지방산으로, 마그네슘은 미네랄로 분해되므로 위험하지 않아요.
참고로, 이 성분은 식품 외에도 의약품(알약, 캡슐), 건강보조제, 화장품 등에도 폭넓게 쓰여요. 다만 일부 사람들은 식이 제한(예: 채식주의자) 때문에 동물성 유래 스테아린산이 들어있는지를 따져보는 경우도 있어요. 요즘은 식물성 원료(팜유, 코코넛유 등)에서 추출한 제품이 많이 쓰입니다.
요약하자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사탕 제조 시 원료가 기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분말 흐름성과 제품 모양의 안정성을 높이는 윤활제예요. 맛이나 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극히 소량만 사용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것 > 먹을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걸리는 왜 고두밥으로 만들까 (0) | 2025.03.31 |
---|---|
양꼬치 (0) | 2025.03.23 |
불리지 않은 현미밥, 내 입맛에 딱 맞는 선택 (0) | 2025.03.17 |
크릭 통밀 크래커 (Crich whole wheat cracker) (0) | 2025.03.03 |
하리보 골리앗 감초 젤리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