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동네 슈퍼에서 일품진로를 사봤다.보통 증류식소주로는 40도 이상을 선호한다. 소화관의 존재를 드러내 주는 그 타는 느낌이 좋기 때문이다.하지만 43도 한 병을 먹었을 때 평일인 다음날이 부담스럽기도 해서 25도를 샀다.집에서 한 잔 기울이는데 뭔가 이상하다.증류식소주의 강하지만 부드러운 느낌이 아닌 약품을 먹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살짝 역하다.그래서 라벨을 봤다.헉... 이상케도 그냥 소주다. 증류식소주가 아니라.원재료명을 보니 증류식소주원액과 정제수뿐이다.그러면 증류식소주가 맞는데.43도짜리 일품진로 라벨을 봤다.마찬가지로 그냥 소주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원재료를 보면 증류식소주다.바로 고객센터에 전화했다.답변은 이러했다. 2013년 법이 개정되어 희석식소주 증류식소주 구별하지 않아도 된다는..
마트에 갔다가 리뉴얼 백세주를 접했다. 병 색도 투명에서 갈색으로, 로고와 이름 디자인도 멋들어지게 변경됐다.뒷면을 보니 식품의 유형이 '살균약주' 더라. 막걸리(탁주)도 생막걸리인 '탁주'와 살균 막걸리인 '살균탁주'로 분류되던데...그래서 궁금해졌다. 주류 종류나 분류는 어떻게 될까?우리나라 행정체계에서 주류는 먼저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발효주, 증류주, 기타주류, 주정.● 발효주 - 탁주, 약주, 청주, 맥주, 과실주● 증류주 - 소주, 위스키, 브랜디, 일반증류주, 리큐르● 기타주류 - 발효주류, 증류주류, 주정에 속하지 않는 주류● 주정이 중 관심 가는 품목은 '소주''증류식 소주'와 '희석식 소주'로 나뉜단다. 기준은 뭘까?증류식 소주는 발효한 청주를 끓여서 증류한 술이고,희석식 소주는 95..
유튜브 '주당 김자케' 영상속 육우 500g에 2만원이란 놀라운 가격에 끌려 점심 시간에 방문, 하지만 점심 시간엔 고기를 팔지 않는단다. 점심 장사를 하는데 손님들이 옷에 고기 냄새 배는 걸 싫어해서라고. 한 시에 오라해서 다시 방문했더니 이때는 또 500g에 2만원짜리 고기는 안판단다. 4시 반부터 판다고. 화가 났지만 두 배 가격인 생등심 모듬을 주문. 고기맛은 있었지만 아무 설명도 명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마음대로 시간을 변경하는 상황은 좀... 고기를 드실 분들은 점심 시간 이후에 방문해 보시고, 500g에 2만원짜리 고기가 궁금하시다면 저녁 시간을 공략해 보시길...
샘표 시골식 된장국이라는 즉석국 제품이 있다. 건조한 블럭 형태로 뜨거운 물 200㎖을 붓고 30초 정도 지나서 먹으면 된다. 싱크대 장 안에서 유통기한 2021년 6월 21일인 - 그러니까 3년 좀 안되게 지난거다 - , 안쪽에 있어 눈에 띄지 않던 몇 봉을 찾았다. 먹을까 버릴까 잠깐 고민하다 처음부터 바싹 말라있는 제품이라 문제 없을꺼란 생각에 먹어 봤더니... 역시나 맛에도 아무 문제 없이 그대로였다. 육고기나 물고기, 채소, 과일등을 바싹 말리는 저장 방법은 꽤나 유효한 기술임을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물론 저 사진상의 제품은 겉포장도 저장에 꽤나 도움이 되었겠지만 말이다.
버스를 타고 을지로 조명가게들을 지나... 목적지는 경동시장 신관 지하에 있는 식당. 시장 안, 사람들이 바글바글합니다. 지하상가 입구로 들어서자마자 오른쪽에 내려가는 계단 발견. 좀 둘러보다 '벌교식당'에 자리를 잡습니다. 쭈꾸미 볶음을 안주삼아 먹습니다. 맛 없네요. 주인장도 굉장히 불친절하네요. 다시는 가지 않겠습니다. 바로 옆 손칼국수 집은 만석입니다. 왜 벌교식당은 장사가 안되는지 경험하는 날이었습니다. 시장 안에 스타벅스도 있나봐요. 아무튼 경동시장 벌교식당은 절대 가지 마세요.
대략 이런 분위기의 골목길이다. 선영 머리방이라는, 그래 '머리방', 소위 말하는 이발소나 미장원 정도가 되겠지만 - 아니면 가발 장사하는 곳이던가 - 머리방이라 이름 지은 사장님의 의도는 무엇이었을지 궁금해지면서, 이 이름에서 동네의 분위기를 읽을 수 있었다. 다이나이듀오 최자의 '최자로드' 채널에서 영상을 보았다. 언제 한 번 가봐야지 하면서... 드뎌 오늘. 저 입구로 들어가 본다. 김치찌개에 든 큼직한 삼겹살이, 제각각 개성있는 맛을 내는 쌈채소가 인상적이었다. 오늘도 안녕. 🍖🍖🍖🍖 (4.0/5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