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두밥이란?• 물 양을 적게 해서 꼬들꼬들하게 찐 쌀밥• 일반 밥보다 단단하고 끈기가 적음• 찰기보다는 입자감과 부풀어 오른 조직이 특징고두밥을 쓰는 이유1. 전분이 잘 퍼지고, 당화 효소가 작용하기 좋음• 고두밥은 쌀 알갱이가 팽창되어 있으면서도 너무 끈적하지 않기 때문에 누룩 속의 효소(특히 아밀라아제)가 쌀 전분에 잘 접근해서 전분 → 당분(포도당 등)으로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어요. → 이 당분이 효모의 먹이가 되어 알코올 발효가 일어납니다.2. 산소와 미생물이 잘 섞일 수 있는 구조• 고두밥은 너무 질지 않아서 덩어리지지 않고 잘 퍼지기 때문에 발효 중에 효모, 누룩균, 젖산균 등이 잘 섞이고 호흡하기도 좋아요.• 통기성, 투습성이 좋아 균들이 살아 숨 쉬는 발효 환경에 적합합니다.3. 잡균 ..

담배를 한 가치 피고 폴로 사탕 하나 물면 또는 폴로 사탕 하나 물고 담배를 피면 상쾌한 느낌이 나서 좋다. 1948년 영국에서 판매가 시작됐다니 80년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성분을 알아보자.설탕, 포도당시럽, 변성전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합성향료(민트향), 천연향료(민트향)Q : 포도당시럽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A : 포도당시럽(Glucose syrup)은 주로 전분(澱粉)을 가수분해해서 만드는 당류 혼합물이에요. 주로 옥수수 전분이 많이 사용되지만, 감자, 밀, 쌀, 타피오카 전분 등도 원료가 될 수 있어요. 사탕, 젤리, 음료, 아이스크림 같은 가공식품에 단맛과 점성을 더하기 위해 널리 사용돼요.포도당시럽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래와 같아요:1. 전분 원료의 추출과 정제먼저 옥수수나 감자 같은..

공기중 성분은 질소가 대부분이고 산소가 20% 정도, 이산화탄소는 1% 남짓이다. 하지만 우리가 마시는 음료를 보면 질소나 산소를 채워서 마시는 경우는 없고 탄산(이산화탄소)을 채워 즐기는게 대부분이다. 왜 이산화탄소를 즐기게 된 걸까?Q : 탄산음료는 이산화탄소가 들어있는 음료인데 왜 인간은 이산화탄소음료에 익숙한 걸까? 어떤 기원이 있는 걸까요?A : 아주 흥미로운 질문이에요. 탄산음료, 즉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는 음료에 인간이 익숙해진 이유는 단순히 현대 산업이나 문화의 산물만은 아니에요. 이 질문에는 생물학적, 진화적, 그리고 문화적 요소가 모두 얽혀 있어요.우선 생물학적 측면에서 보자면, 인간의 혀에는 이산화탄소 자체를 감지하는 특별한 수용체가 있어요. 이는 혀에서 나오는 효소인 카르보닉안히드레..

서문10•26 거사, 김재규는 왜 박정희를 쏘았는가?10•26 사건 45주년, 상처 치유도 사회적 논란도 미결과제로 남아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왜 대통령 박정희를 권총으로 쏘았는가? 세계사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10•26 사건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 책은 그런 물음에 대한 가장 실증적이고 분명한 답변을 담고 있다.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대통령 박정희를 권총으로 살해한 10•26 사건이 올해로 45주년을 맞았다. 유신 군사독재의 '오너'가 제거된 지 역사적으로 한 세대가 바뀌고도 다시 15년의 세월이 흐른 것이다. 김재규가 쏜 두 발의 총탄은 강고하던 유신을 한순간에 사라지게 만들었다.이후 12•12 군사반란과 5•18 광주 살상 진압 등 역사적 복고 역풍이 있었으나 6월 항쟁과 개헌 그리고 우여곡절 ..
미국의 대표적인 농산물인 옥수수, 대두, 밀의 재배면적 변화는 어떨까? • 옥수수: 약 9,074만 에이커로, 전년 대비 3.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대두(콩): 약 8,700만 에이커로, 전년 대비 4.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밀: 약 4,720만 에이커로, 전년 대비 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그러니까 옥수수, 밀의 재배면적은 해마다 줄고 있지만, 대두의 면적은 늘려가고 있단다. 이것은 60년대도 마찬가지 기조였는데, 이유는 뭘까? 작물1930년대1960년대변화율옥수수 (Corn)약 1억 3백만 에이커 약 1억 1백만 에이커 –2% (소폭 감소)콩 (대두, Soybeans)약 560만 에이커 약 3,400만 에이커 +505% (약 6배 증가)밀 (Wheat)약 6,600만..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에서 신석기 시대 벼농사를 비롯한 농업혁명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그는 흔히 농업혁명이 인류의 진보와 번영을 가져왔다고 평가되는 기존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라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벼농사 등 농업의 시작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첫째, 농업 혁명은 오히려 인간의 삶의 질을 떨어뜨렸다고 본다.농업 이전의 수렵채집 사회에서는 인간이 비교적 적은 노동으로도 영양이 균형 잡힌 다양한 음식을 얻을 수 있었고, 건강 상태도 좋았다. 그러나 벼농사를 포함한 농경 사회에서는 같은 작물을 집중적으로 재배하면서 식생활이 단조로워지고 영양 불균형이 나타났다. 벼와 같은 곡물을 주식으로 삼으며 오히려 기아, 질병, 영양 결핍 등의 문제가 커졌다.둘째, 인간이 식물(벼)의 ‘노예’가 되었다고..

들어가며세 번의 뜬눈으로 지새운 밤나는 AI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데 드는 대가가 최소한 세 번의 잠 못 이루는 밤이라고 믿는다.생성형 AI 시스템을 몇 시간 정도만 사용해도 어느 순간, 이 AI가 기존 컴퓨터처럼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오히려 사람처럼 행동한다. 당신은 새로운 무언가, 이질적인 존재와 마주하고 있으며, 세상이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흥분과 불안이 뒤섞인 채 밤을 지새우며 고민한다. ‘내 직업은 어떻게 될까? 내 아이들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이 AI는 생각이라는 걸 하는 걸까?’ 한밤중에 다시 컴퓨터 앞으로 가서 무리한 요구를 해보지만, AI는 그것을 해낸다. 그리고 문득 깨닫는다. 세상이 근본적으로 변했고, 이제 그 누구도 미래가 어떻게 될지 정확히..

아마존 컴퓨터 & 기술 분야 베스트셀러 목록에 특이해 보이는 책이 있어 호기심에 프롤로그를 번역해 본다.프롤로그서로를 필요로 하는 순종적인 사람들그들은 부주의한 사람들이었다, 톰과 데이지는—그들은 사물과 생명체를 부숴버리고는 다시 자신들의 돈이나 광대한 무책임함, 혹은 그들을 함께 붙들어 매는 무엇인가 속으로 도망쳐버렸고, 그들이 만들어 놓은 엉망진창을 다른 사람들이 치우도록 내버려 두었다.—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결국, 그것은 자본주의였다.만약 내가 기술 산업이 본격적으로 탈선하기 시작한 순간을 골라야 한다면, 2016년 12월 10일 토요일 아침을 선택할 것이다. 나는 그날 아침 샌프란시스코의 노에밸리에서 안개가 언덕 위로 걷히는 가운데, 장터에서 요리를 좋아하는 내 맏아들과 함께 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