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명한 책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역사학자 전우용 씨의 한겨레 기고글 한 편을 소개하며 훌륭한 글이라 칭찬한다. 하지만 나는 전혀 동의할 수 없다. 전형적인, 중학생 정도의 지식인이면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오류(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hasty generalization)를 포함하고 있고, 이 오류는 독자로 하여금 글에서 언급하는 대상(세균)을 오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래 글을 읽고 - 특히 볼드 처리된 문장 - 이어가보자.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662688.html 위 볼드 처리된 문장을 오류가 없게 고친다면, '세균과 바이러스' ➟ '몇몇 세균과 바이러스'. 그러니까 우리 몸에 유익한 세균도 많은데, 세균을 모두 싸잡아 적대시하는 생각을..

위스키 맛은 오크통 맛 양주의 대명사인 위스키. 다양한 위스키 종류가 있지만 스코틀랜드 전통 위스키는 보리를 발효시켜 보리술을 만들고 이를 증류하여 오크통에서 수년간 숙성하여 만든다. 하지만 최초의 위스키는 오크통 숙성 과정을 거치지 않고 증류 원액을 바로 마셨다고 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위스키의 색과 맛이 바로 오크통의 색과 맛에 기원한다는 것이다. 위스키의 주원료인 보리 증류주 맛이 아니다. 과실주를 증류하여 만드는 브랜디도 오크통에서 숙성하기는 마찬가지. 그러니까 위스키나 브랜디의 맛을 좋아한다면 그건 오크통 맛일 가능성이 높다. 재료 본연의 맛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다는 우리나라의 가장 대중적인 초록병 소주인 희석식 소주는 주정에 물을 타서 만든다. 그러다 보니 무색, 무취, 무미라 증류 ..

'병신'의 국어사전적 의미 신체의 어느 부분이 그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기능에 제약이 있는 상태 또는 그런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모자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주로 남을 욕할 때에 쓴다. 어느 부분을 갖추지 못한 물건. 나는 남을 욕할 때 '병신'이라는 말을 주로 쓴다. 위 2번 예에 해당하지만 1번에 해당하기도 한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의 차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뇌 능력에 있어 가장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뇌의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기능에 제약이 있는 존재라는 의미다. 모자람과 병신의 차이 누구나 모자란 행동을 한다. 하지만 모자란 행동을 한 후, 자신이 모자란 행동을 했다는 것을 인지하고 다음엔 같은 행동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면 지극히 정상이라 할 수 있다..

몸이라는 블랙박스 내부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없는 시스템을 블랙박스라 부른다. 이 블랙박스의 작동 원리를 추론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하에서 다른 입력값들을 넣고 출력값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게 된다. 의학이 과거에 비해 많이 발전했다고는 하지만 현대 의학으로는 고치지 못하는 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는 것은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증명한다. 현재 인간은 해변 모래사장에서 모래 몇 알 만큼의 지식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고로 현재까지 이룩한 의학적 업적을 내려놓고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생각으로, 인체를 알 수 없는 블랙박스로 가정하고 접근한다면 오히려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몸의 입출력 몸이라는 블랙박스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입력에 따른 출력을 관찰해야 한다. 그렇다면 몸의 입..

음식 한류(K-food) K-pop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동반 상승세를 보이는 분야는 바로 한식(K-food)이겠다. 김치, 비빔밥, 불고기야 그 이전부터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3, 4년 전부터 유행하는 유튜브를 보면, 서서히 서양인들이 한국식 BBQ의 맛에 빠져들기 시작해서 해외에서 개업한 가게들마다 문정성시를 이루는 영상들이 많이 보인다. 고기를 불에 익혀 먹는 문화는 세계 어디를 가나 공통적일텐데 한국식 BBQ란 어떤 특색을 지녔기에 서양인들에게 어필하고 있을까, 그 핵심을 생각해보자. 고기 맛은 지방맛 고기의 맛이란 정확히 어떤 성분의 맛을 의미할까? 고기 기름, 곧 지방의 맛이다. 뜨거운 열에 살점 속에서 녹아 나오는 지방, 그 고소한 맛. 신발을 튀겨도 맛있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튀김에는 고소..

2012년. 거의 매일 국밥을 먹었던 적이 있었다. 뼈다귀 해장국을 좋아했었고 마침 집 근처에 맛있게 잘하는 감자탕 전문점이 있어서 그렇게 먹었던 듯하다. 국밥이 6천 원, 소주가 3천 원. 합이 9천 원. 계산할 때 만 원 한 장을 내면 천 원짜리 한 장을 도로 받았다. 행복했던 시절이었고, 내가 음식점에서 받는 서비스에 비해 가격이 참 싸다고 생각했었다. 언젠가는 국밥 한 그릇에 만 원 하는 날이 올 것이고 그만큼 음식점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임금도 올라가길 당시 기원했다. 코로나 상황이 진정되면서 음식점들의 영업 제한이 모두 풀렸지만 그 기간동안의 어려움에 더해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인한 물가상승도 맞물려 외식 비용이 일제히 상승했다. 국밥도 이젠 대부분 1만 원이다. 내가 기원했던 대로 그만큼 종..

사람을 그가 가진 욕망과 능력의 많고 적음을 기준으로 나눈다면 네 가지 부류가 있겠다. 먼저 욕망과 능력의 밸런스가 맞는 부류. 욕망도 크고 능력도 그에 맞게 잘 따라주는, 그러니까 세속적으로 성공할 요인을 두루 갖춘 인간형. 다음으로는 능력치도 작지만 욕망도 작아서 성공과는 거리가 멀지만 安分知足으로 잘 살아가는 인간형. 이 두 인간형은 밸런스가 맞기에 안정적인 상태라 말할 수 있겠다. 그 다음은 밸런스가 맞지 않는, 가지고 있는 능력은 출중하나 욕망이 작은 부류, 욕망은 큰데 그에 맞는 능력은 가지지 못한 부류. 전자의 경우 외부에서 보기엔 좀 게을러 보일 수 있다는 것만 제외하면 밸런스가 맞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안정적이다. 하지만 후자는 불안정하다. 자신의 능력으로 채우지 못하는 욕망의 부족분을, ..